[작성자:] 마이 리틀 드리머
-
생리적인 리듬이 안정되는 9개월 전까지
그토록 기다리던 백일의 기적. 대부분 백일의 기적이 아닌 백일의 기절을 맞게 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백일이면 밤낮은 구분한다더니, 밤 10시에 잠들었다가 새벽 2시, 5시에 깨서 우는 아기를 지켜보면서 막막했던 분이라면, 이 글에서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거예요. 육아서마다 “생후 3-4개월이면 밤낮을 구분한다”고 나와 있지만, 막상 그 시기가 지나면 새벽 4-6시 깸은 더 심해집니다. 왜냐하면 밤낮 구분하는…
-
13개월 이상 유아 수면가이드 (상담사례 시리즈 4)
낮잠 1회 전환, 어린이집 적응, 그리고 낮잠 완전 거부까지… 13개월 이상이 되면 정말 많은 변화가 몰려와요. 낮잠 1회 전환을 시도해봐야 하는지, 어린이집에서 낮잠을 자고 오는데 집에서는 거부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심지어 23개월쯤 되면 낮잠을 아예 안 자려고 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마리드가 상담에서 만났던 13개월 이상 유아 엄마들의 실제 사연과 마리드의 답변을 바탕으로, 이 시기 가장…
-
4편 : 낮잠이 밤잠을 방해한다면? – 아기 낮잠 조절 완벽 가이드 (4)
진단 결과 우리 아이가 낮 일과 연계형 종달기상에 해당한다면, 낮잠과 밤잠의 균형이 무너져서 생긴 문제예요. 이 유형은 전날 낮잠 패턴과 연관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체계적인 아기 일과 조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어요. 낮 일과 연계형 종달기상, 정확히 알아보기 우리 아이가 이 유형이 맞나요? 핵심 특징 재확인 낮 일과 연계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어요. 우리 아이에게…
-
수면교육 없이도 잘 자는 아기들 – 과학이 밝힌 진짜 이유
맘카페를 들여다보면 가끔 이런 글들을 만나게 됩니다. 우리 아기는 수면교육 같은 거 안했는데 신생아 때부터 잘 잤어요! 3개월부터 그냥 통잠 자던데요? 이런 자랑글을 보면 부러움도 느끼는 한편, 마음 한구석이 매우 복잡해지면서 따지고 싶어집니다. 신생아는 다 못 잔다면서요? 아기는 다 똑같은 거 아니었어요? 아니면 정말 내가 뭘 잘못하고 있는 건가요? 우리는 오랜 동안 “모든 아기는 수면교육을…
-
8개월 수면퇴행과 7-12개월 수면 가이드 – 상담 사례
7-12개월은 아기의 수면에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수면교육을 했던 아기도 다시 밤중깸이 생기고, 새벽에 자주 깨며, 낮잠도 불규칙해지죠. 여기에 이유식, 낮잠 전환, 분리불안까지 겹치면서 수면이 완전히 무너진 느낌이 들 수 있어요. 8개월 수면퇴행을 포함한 이런 변화들은 정상적인 뇌 발달의 증거이며, 차근차근 대응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실제 상담 사례 1: 수면교육 후 수면퇴행 하○○님 (8개월…
-
4-6개월 아기 수면 가이드 – 수면 퇴행기 상담 사례
4-6개월은 아기 수면에서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그동안 잘 자던 아기가 갑자기 자주 깨고, 낮잠은 30분만 자며, 입면을 어려워하기 시작한다면 당황스러우실 텐데요. 마리드가 상담에서 만났던 4-6개월 아기 엄마들의 실제 사연과 마리드의 실제 답변을 바탕으로, 이 시기 가장 흔한 수면 고민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해요. 모든 사례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여러 케이스를 조합하여 재구성했고, 마리드의…
-
신생아 수면 가이드 – 생후 50일부터 100일까지 실제 상담 사례
생후 50일부터 100일까지, 이 시기 엄마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수면 문제들을 정리해봤어요. 매일 반복되는 등센서와 짧은 낮잠, 새벽마다 찾는 쪽쪽이… 혹시 우리 아기만 이런 건 아닐까 하는 마음이 드실 텐데요. 마리드가 상담에서 만났던 신생아 엄마들의 실제 사연과 마리드의 실제 답변을 바탕으로, 이 시기 가장 흔한 수면 고민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해요. 모든 사례는 개인정보 보호를…
-
3편 : 생체리듬이 바뀐 아기, 이렇게 대응하세요 – 아기 생체리듬 조정 가이드
진단 결과에서 우리 아이가 생체리듬 조정형 종달기상에 해당한다면, 아기가 자라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지금의 종달기상 현상은 아기 수면 요구량이 줄어들고 생체리듬이 성숙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아기의 새로운 패턴에 부모가 적응해야 합니다. 생리현상이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요. 생체리듬 조정형 종달기상, 정확히 이해하기 우리 아이가 이 유형이 맞나요? 핵심 특징 재확인 생체리듬 조정형 아기…
-
모유수유와 아기 수면: 신호 구분 기술
새벽 3시, 또 깨서 울고 있는 아기를 안으며 이런 생각이 드신 적 있나요? “낮에 계속 먹었는데 또 배가 고픈 거야??” 모유수유를 하는 많은 엄마들이 경험하는 혼란입니다. 그래서 아기가 울 때마다 젖을 물리고, 어느새 젖 없이는 잠들지 못하는 패턴이 굳어져 버리죠. 분유를 먹이면 안 깨고 잘 것 같다는 기대가 올라오는 한편, 힘들게 유지해온 모유수유에 대한 미련에…
-
생애 첫 3년, 다시 돌아오지 않는 촉각의 황금기 (2)
지난 편에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아기가 엄마 품을 찾는 것이 단순한 버릇이 아니라, 태아기부터 시작된 촉각 중심의 진화적 설계라는 것을요. 촉각이 임신 8주부터 가장 먼저 발달하고, 접촉을 통한 옥시토신 분비가 실제 생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며, 이 모든 과정은 수백만 년의 진화가 만든 완벽한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 아이들에게 전례 없는 일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대 아이들의…